전통 사회의 자산과 비즈니스들을 디지털 프로덕트 사회로 치환해보기
최근 이런 생각을 많이 한다. 오프라인에서 건물을 올리고 임대료를 받는 업이 성립한다면, 온라인에서도 분명 가능할 것이라고. 왜냐하면 결국 온라인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는 오프라인을 디지털 프로덕트를 기획 및 개발을 통해 모바일 세상으로 치환해놓은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아래는 내가 생각했던 디지털 비즈니스의 본질과 Value-up Point를 간략히 요약해본 내용이다.
이전 블로그 글 발췌 : 디지털 비즈니스의 본질, 그리고 니즈의 해결
IT 벤처 서비스를 만들려면 엔지니어링이 먼저일까, 아니면 좋은 서비스가 먼저일까. IT 솔루션이나 엔진을 개발하는게 아니라면 단언컨대 후자가 본질적이라고 생각이 든다.
멀리 한 번 바라보자. 공유경제의 대명사 Uber나 Airbnb는 Cutting-edge tech인 머신러닝의 가치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좀 더 투박하게 생각해보면 이들이 본질적으로 제공하는 일 자체는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다.
i) Uber : 제 3의 창업자가 승객 운반용 Vehicle에 대한 노동 공급을 찾아 제공하고, 이를 불특정 다수의 수요자와 매칭시킨다.
ii) Airbnb : 마찬가지로, 제 3의 창업자가 유휴 공간에 대한 공급을 찾아 제공해주고 이를 불특정 다수의 수요자들에게 매칭시킨다.
일단 서비스의 본질은 이런 것 같다. 그리고 저 "매칭"하는 엔진에 IT 기술을 통한 중개 효율성 극대화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적어보고 싶었던건, 어떤 창업이든지간에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내지 수요자의 니즈를 알고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오늘의 집이라는 인테리어 서비스를 살펴봤는데, 결국 서비스의 본질적인 내용은 "일반인도 예쁜 집을 꾸밀 수 있게 해주자"는 것이고 실제로 많은 밀레니얼 세대, 특히 혼자 사는 세대들 사이에서 인테리어에 대한 니즈는 직관적으로 느끼기에 아주 큰 것 같다.
그리고 비즈니스 피봇팅은 그 다음이다. Track-record 목적의 서비스 라인을 대강이나마 구축한 후에 어느 정도 입지가 생기면 그 때쯤 "아, 뭘 더 해볼까"라는 식의 접근이 가능해진다. 물론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은.
최근 고민하고 있는 오프라인 비즈니스의 치환 : 디지털 땅 덩어리에 건물 또는 회사 세우기
1) 사회 초년생을 위한 경제 교습학원 비즈니스 (전국 단위)
- 최근 Thinkific을 통해 주식/암호화폐 입문자를 위한 개별 자산군에 대한 펀더멘털 교육 코스를 구조화하고 있다. 비즈니스 브랜딩의 핵심은 "대중공감성"이며 내가 늘 말하는 지식수준 기준 역피라미드 도식에서 중간 그룹 정도 사람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전개하려고 한다.'
- 이렇게 초기 비용을 투입해서 LMS를 구축하고 나서 에이전시를 끼든 내가 직접 광고를 하든 모객을 해야 하고, 정액으로 책정되어 있는 3개월치 학습 코스에 대한 결제비가 꾸준히 입금될 것이다. 이는 마치 오프라인에서 큰 돈을 들여 특정 부동산을 매입한 후, 에이전시(부동산업자)를 끼거나 내가 직접 P2P로 광고를 해서 월세를 받는 것과 유사한 현금 흐름을 가져올 수 있다.
- 디지털 비즈니스가 좋은점 중에 하나는 초반에 노동력 측면의 CAPEX만 투입하면 규모의 경제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즉, 한번 빡세게 머리를 굴려서 프로덕트를 구조화해놓으면 그 뒤부터는 추가적으로 들여야하는 공수가 초기 대비 어마어마하지 않기 때문에 일종의 철도/전기 등 독점 사업이랑 비슷하다. 뿐만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해서 서비스 운영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오프라인 학원 비즈니스 대비 고객 충성도나 친밀도는 낮을 수 있어도 대중에게 확장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넓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 독점 사업의 경우 초기 CAPEX를 빡세게 지불한 이후 User-Lockin을 극대화시키고, 이후 추가 유지보수에 해당하는 비용만큼만 재투자하면 되기 때문에 장기생산비용은 서서히 낮아진다. (Increasing Return to Scale)
2) 경제 미디어
- 이건 노코드 베이스로 이미 빠르게 베타 서비스를 한번 돌려봤다. 일단 현실적으로는 시장의 니즈가 확실했다. 이러한 니즈 검증을 바탕으로 LMS를 구축하고 빠르게 마케팅 캠페인을 돌릴 예정
'Entrepreneu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을 향한 IT 기술의 확산 (0) | 2020.08.03 |
---|